티스토리 뷰
목차
안녕하세요!
요즘 경제 뉴스 볼 때마다 물가, 금리, 세금 같은 이야기들이 쏟아져 나오죠.
거기에다 국민연금까지 바뀐다고 하니 ‘도대체 뭐가 어떻게 달라지는 걸까?’ 하고 걱정되는 분들이 많으실 거예요.
저도 처음 소식을 접했을 때는 막연하게 부담이 늘어날까 걱정이 되더라고요.
하지만 알고 보면 생각보다 영향이 큰 경우는 일부에 불과하고, 대부분은 변동이 거의 없답니다.
오늘은 2025년 7월부터 달라지는 국민연금 보험료 기준에 대해 하나씩 친근하게 풀어보려고 해요.
부담 없이 커피 한 잔 하면서 천천히 읽어보세요!
1. 7월부터 바뀌는 국민연금, 무엇이 달라지나?
이번 변화의 핵심은 보험료율(9%)은 그대로이고, 기준소득월액의 상·하한액이 바뀐다는 점이에요.
"기준소득월액"이란? 국민연금 보험료를 계산할 때 기준이 되는 월 소득 구간을 말합니다.
<변경 전 / 후 비교>
구분 | 2024년 7월~2025년 6월 | 2025년 7월~2026년 6월 |
상한액 | 617만 원 | 637만 원 |
하한액 | 39만 원 | 40만 원 |



2. 누가 보험료가 오를까?
이번 변경으로 모든 사람이 보험료가 오르는 건 아니에요.
아래에 해당하는 사람만 영향을 받아요.
<영향이 있는 대상자>
- 월 소득 637만 원 이상인 고소득자
- 월 소득 40만 원 미만인 저소득자
나머지, 40만 원 이상~617만 원 이하인 가입자는 변동이 없습니다.
<변화폭 정리>
- 고소득자 : 월 최대 18,000원 인상
- 저소득자 : 월 최대 900원 인상
3. 실제 부담금은 얼마나 오를까?
아래 표를 보면 더 쉽게 이해됩니다.
<고소득자 예시 (직장가입자)>
구분 | 이전 보험료 | 변경 후 보험료 | 증가액 |
회사 부담 | 277,650원 | 286,650원 | 9,000원 |
본인 부담 | 277,650원 | 286,650원 | 9,000원 |
총합 | 555,300원 | 573,300원 | 18,000원 |
<저소득자 예시 (지역가입자)>
월 소득 | 이전 보험료 | 변경 후 보험료 | 증가액 |
40만 원 미만 | 35,100원 | 36,000원 | 900원 |



4. 왜 매년 7월에 국민연금이 바뀌나요?
국민연금은 최근 3년간 전체 가입자의 평균 소득 증가율을 반영해 매년 7월에 상·하한 금액을 조정합니다.
즉, 보험료율(9%)은 그대로지만, 기준이 되는 소득 구간이 변하면서 일부 사람들의 보험료가 조정되는 것이죠.
5. 국민연금 부담을 줄이는 팁
보험료를 무조건 줄일 순 없지만, 아래와 같은 방법을 통해 장기적으로 연금 혜택을 극대화할 수 있어요.
- 연금보험료를 성실하게 납부해 두면, 나중에 연금 수령액이 커집니다.
- **추후 납부 제도(추납)**를 활용해 과거 미납 기간을 채우세요.
- 소득이 일시적으로 줄었을 경우 보험료 납부 예외 신청도 가능해요.



6. 마무리 : 이번 변경,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여러분, 오늘 내용 정리하면 :
- 보험료율(9%)은 그대로
- 상·하한 금액만 조정
- 고소득자·저소득자만 소폭 인상
대다수 직장인과 자영업자는 큰 영향을 받지 않으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
혹시 내 보험료가 오를지 헷갈린다면 **국민연금 홈페이지(내 연금 알아보기)**나 내연금내 연금에서 직접 계산해 보세요!